얼마 전에 구입한 다이나톤 61건반 마스터키보드에 사은품으로 제공된 DAW 어플 스튜디오원3 설치 및 기본 설정 후기를 올립니다. 저와 같은 기종의 마스터 키보드를 구입한 후 프로그램 설치에 어려움이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스튜디오원 3를 DVD나 CD로 제공하지 않고 정품 Product Key 시리얼 번호가 적힌 종이만 주기 때문에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다운로드 방식으로 받아서 설치를 진행해야 합니다.
스튜디오원 3를 만든 회사인 프리소너스 홈페이지에서 회원 가입을 해야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으니 회원 가입을 통해 자신의 계정을 만드세요
https://my.presonus.com/auth/create_user
계정 생성 과정은 제가 따로 설명을 드리지 않고 링크만 걸어 두겠습니다.
Studio one installer 프로그램은 32비트 버전과 64비트 그리고 윈도우용 및 애플 맥 PC용으로 제공 됩니다. 본인의 PC 및 OS 환경에 맞는 버전을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으세요 ^^ 스튜디오원 3 아티스트 버전은 대략 200MB 용량으로 그다지 큰 파일은 아닙니다.
스튜디오원 설치 후 로그인 하기.
처음 스튜디원3를 사용하려면 프로그램 로딩 초기화면에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로그인을 해야 되는데 로그인 인증은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만 가능 합니다. 이 때 한번만 활성화 인증을 받으면 그 후에는 인터넷 연결 없이도 프로그램이 실행 되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 이메일 주소 ID와 비밀번호는 프리소너스 계정 만들 때 입력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로그인 후 스튜디오 원 3 업데이트 및 음원 패키지 설치.
시퀀서 프로그램만 설치된 상태에서 가상악기 음원과 영어 매뉴얼, 튜토리얼, 데모 송 등의 패키지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풀패키지로 전체 설치하면 대략 5.3GB 정도의 용량 입니다. 인터넷으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체 설치 시간은 4-50분 정도가 걸리며 네트워크 속도에 따라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습니다.
가상악기의 사운드셋은 내문서 폴더에 따로 저장되며 이것을 백업 해뒀다가 나중에 OS를 새로 설치하거나 스튜디오원 재설치 시 해당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매번 다운로드 받을 필요 없이 스튜디오원에 각각의 패키지가 자동 설치 됩니다.
마스터 키보드 연결 하기.
USB 케이블로 마스터키보드를 PC 또는 노트북에 연결 후 마스터키보드의 전원을 ON 합니다. Setup을 누른 후 External Devices 항목으로 들어가 하단의 ADD를 눌러 마스터키보드를 추가 합니다.
ADD를 누르면 장치 목록이 쭉 드는데 그 중에서 Acorn Instruments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른 옵션은 손 댈 것이 없고 Receive From에서 USB MIDI 에뮬레이트로 설정 하면 끝 입니다 ^^ 다이나톤 마스터 키보드 기준이므로 타 기종의 마스터키보드를 연결을 하려면 좌측의 디바이스 모델에 맞게 지정하시면 됩니다.
OK 누르고 Create a New Song을 눌러 새노래 만들기를 합니다.
Empty Song 빈 노래 작업을 선택하여 OK 합니다.
위와 같이 큐베이스 시퀀서와 비슷한 작업 창이 생성되고 우측 메뉴에 불러 올 수 있는 가상악기 목록이 보일 겁니다.
스튜디오원 가상악기 불러오기.
우측 사이드바에서 Presence - Presence Studio Grand - Pop Grand를 마우스 드래그 하여 좌측의 작업 창으로 끌어다 놓으면 피아노 음색의 가상 악기 불러오기가 됩니다. 마스터키보드의 건반을 누르면 피아노 소리가 들릴 겁니다.
상단의 Pop Grand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다른 음색의 가상악기로 변경이 가능 합니다. 기타, 오르간, 베이스, 드럼 등등 다양한 음색이 많이 있습니다.
스튜디오 원 3는 무료 버전인 프라임 버전과 OEM으로 많이 제공되는 아티스트 버전 그리고 프로 버전 이렇게 3종이 있는데 버전 별로 기능 제한이 있습니다. 아티스트 버전의 경우 기본 탑재된 가상악기 이외의 외부 가상악기를 불러 올 수 없습니다. 키스케이프 피아노 같은 외부 가상악기를 사용하려면 프로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를 해야 합니다 ㅜㅜ
기능 제한이라는 아쉬운 점 있기는 하지만 초보자 분들이 DAW 어플로 작곡이나 편곡, 믹싱 작업을 공부하며 배우기에 충분한 기능을 제공 합니다. 큐베이스 구버전 구해서 어렵게 설치하지 마시고 아티스트 버전이나 그것도 아니면 프라임 버전으로 충분히 미디 공부를 할 수 있으니 다이나톤 마스터 키보드가 없더라도 한번 설치하여 테스트 해보시기 바랍니다. 마우스로 건반을 찍으면 소리가 납니다.
사운드 오류 관련 문제 해결.
저는 지금 피아노 레슨 교재인 바이엘 PDF 악보를 PC 화면으로 보면서 마스터키보드로 피아노 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스튜디오원 프로그램을 실행 시켜 두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도 마스터키보드 건반을 누르면 피아노 소리가 납니다.
그런데 문제는 스튜디오원을 실행 시켜 두면 동영상, MP3 음악 재생 시 소리가 나오지 않고 먹통이 됩니다.
특히 유튜브를 볼 때도 소리가 나지 않아 상당히 불편한데 이럴 때는 스튜디오원 옵션에서 Advanced - Audio - Release audio device in background 항목울 체크 해주면 스튜디오원에서 크롬 브라우저로 전환 하거나 비디오, 음악 플레이어로 전환 할 때 자동으로 스튜디오원이 독점하고 있는 사운드 장치 드라이버가 풀려 소리가 안나오는 불편이 사라지게 됩니다.
아직은 언어 설정에서 한국어가 없어 영어 메뉴를 사용해야 합니다. 제가 DAW 어플 전문가는 아니지만 굳이 큐베이스만을 고집하며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스튜디오원 프로그램의 로딩 속도가 빠르고 상당히 안정적인 편 입니다.
스튜디오원3 설치 과정 중 궁금한 점이나 질문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 -끝-
댓글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