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타 GX 61 마스터키보드는 해머액션 건반은 아니지만 간단한 피아노 연주도 가능하고 미디 컨트롤러로 사용할 수 있는 가성비 좋은 마스터키보드 입니다.
가격은 15만원대 이며 비트윅 8트랙 DAW를 번들로 제공 합니다.
EDM 및 작곡, 편곡, 피아노 연주 입문을 위한 가성비 좋은 마스터 키보드로 추천할 수 있는 제품 입니다.
별도의 전원 어댑터 없이 USB 케이블만으로 작동하고 서스테인 페달 연결도 가능하여 가상악기 피아노 및 다양한 가상악기 연주가 가능합니다. GX61 마스터키보드 본체에는 악기 음뭔이 없고 가상악기는 별도 구매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반들로 제공되는 비트윅을 설치하면 간단한 기본 악기 몇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넥타 임팩트 GX61 키보드 사양.
벨로시티를 감지하는 풀사이즈의 61건반.
크기는 가로 96.5cm, 세로 19.7cm, 높이 6.8cm
무게는 약 2.8Kg 입니다.
사이즈와 무게가 들고 다니기에 딱 적당 합니다.
넥타 GX61 건반 타건감.
해머 액션도 아니고 그렇다고 풀 웨이티드도 아닌 세미 웨이티드의 소프트 터치 건반 입니다.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에 비하면 많이 가벼워 무거운 건반에 익숙한 분들에게는 적응 과정이 필요할 겁니다.
개인적으로 마스터키보드는 해머액션 터치감의 88키 보다는 가벼운 터치의 61건반이 낫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88건반을 굳이 마스터 키보드 구입하는 것은 좀 비추 입니다. 차라리 야마하 P125 또는 롤랜드 FP30 같은 포터블 디지털피아노를 구입하여 미디컨트롤러로 사용하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아무튼 61건반이더라도 어지간한 곡들은 연주가 가능 합니다. 옥타브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어 필요시 조정하시면 됩니다.
넥타 GX 61과 스튜디오원 인터그레이션.
Integration 뜻은 통합, 합체 이런 의미 입니다. GX61 죄측의 버튼 키를 DAW 소프트웨어와 합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 입니다.
스튜디오원과 넥타 GX61을 인터그레이션 하면 마우스로 스튜디오원을 따로 조작하지 않아도 넥타 GX61 조작키를 이용하여 녹음, 재생, 볼륨 조절 같은 기능을 곧바로 스튜디오원과 연동시켜 작동할 수 있어 편리 합니다.
인터그레이션은 별도의 인터그레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작동합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넥타코리아 홈페이지의 자료실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스튜디오원은 물론이고 애플 로직, 큐베이스, FL studio, 케이크워크 소나, 비트윅 같은 유명한 DAW를 지원 합니다. 각각 별도의 인터그레이션 설치 프로그램을 제공.
스튜디오원에 GX61 키보드 인터그레이션을 설치하면 미디 컨트롤러 드라이버까지 같이 설치되어 편리 합니다. 인터그레이션을 설치하지 않으면 외부 디바이스 설정 항목에서 수동으로 추가해줘야 합니다,
벨로시티를 김지하는 건반이 채용되어 건반을 세게 누르면 강한 음이, 약하게 누르면 약한 음이 입력됩니다만 롤랜드 FP30 같이 3개의 센서가 달린 건반에 비해 정교한 벨로시티를 감지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피아니시모 같은 매우 여린 또는 거의 소리가 나지 않는 음을 입력하기 매우 어려워 생동감 있는 피아노 연주를 할 수 없습니다.
물론 GX61은 엔트리급 미디 컨트롤러이기에 디지털피아노 수준의 민감한 벨로시티 표현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서 이것을 단점이라고 하기에는 애매 합니다.
다만 미디 컨트롤러로 이기에 연주 녹음 후, 벨로시티 후보정을 통해 생동감 있는 벨로시티 표현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M-Audio keystation 61 MK3.
넥타 GX61 보다 가격은 4-5만원 정도 더 높습니다. 타건감은 살짝 더 무거운 편 입니다. 키스테이션 61 MK3 키보드를 구입하면 번들로 딸려 오는 소프트웨어가 쓸만한 것들이 많습니다.
DAW는 에이블톤 라이브 라이트, 가상악기는 AIR 미니 그랜드 피아노, 일렉피아노, 피아노레슨, 멜로딕스, 터치루프 등을 줍니다.
큐베이스와 키스케이프 정품을 구입하기 부담스러운 초보 분들은 M오디오 키스테이션 61도 고려해보세요 ^^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끝-
이한수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
어제 GX61을 맥에 연결했는데 신호는 잡히는데 소리가 안나는 현상이 발견하고 있는데 혹시 해결방안을 도움이 받을 수 있을까요?
Reply:
효진님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
GX61은 음원이 내장되지 않아서 자체적으로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가상악기 어플을 설치하여 사용해보세요
이한수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
빠른 답장 감사드립니다. 맥에서 로직 프로 10 프로그램으로 연결해 놓은 상태인데
건반 터치를 하면 소리가 나와야 되는것이 아닌가요?
몰라서 그런데요. 마스터 키보드라는 것이 소리는 안나고 음악적 신호만 저장하고 프로그램으로 플레이하는 개념인가요>
제 생각으로는 usb 인터페이스에 마스터 키보드, 마이크, 기타를 연결하면 소리를 들으면서 녹음이 가능하지 않는가 해서요.
Reply:
효진님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
로직 프로 같은 DAW에 가상악기 띄워놓고 마스터키보드로 실시간 연주할 수 있습니다.
가상악기 관련글 참고.
https://ohharu.com/753
이렇게 설정하여 실시간으로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로직 프로에서의 설정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는 맥 사용자가 아니라서 도움을 드리기 어렵네요
큐오넷 같은 커뮤니티에 가입하여 문의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을겁니다.
인터그레이션도 다 다운 받고 해서 소리도 나는데 가상악기 쓸 때 피치랑 모듈레이션 휠이 자기 맘대로 변하는 왜 그러죠? 제가 무언가를 안햇을까여? 답장부탁려요ㅜ(참고로 큐베이스입니다.)
Reply:
효진님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
피치밴드 CC 값을 변경해보세요
https://youtu.be/B8NJoX_gGyQ
Reply: 손수연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
링크 걸어주신걸로 봣는데 제품이 달라서...제 제품은 지금 블로그에 올리신 제품이거든요 그래서 이 제품은 어케 해야할지...죄송해요..제가 쌩초보다보니 질문이 많네요ㅜ
Reply:
효진님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
Impact GX의 Modulation Wheel, Potentiometer(노브. Knob), 그리고 14개의 버튼은 어떠한 MIDI 신호에 할당이 가능합니다. (단, Nektar Integration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 해당.) 할당된 값은 키보드의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켰을 때도 적용이 되어있으며, 초기화 상태로 돌리기 위해서는 건반 초기화를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Setup 버튼을 누릅니다. 버튼 위의 LED에 파란 불이 점등되며, Setup 기능의 활성화를 의미합니다.
컨트롤 할당을 실행하기 위해, C#1 건반을 누릅니다.
미디 신호를 할당시킬 컨트롤러를 누르거나 움직여줍니다.
G3~B4(GX49), G4~G5(GX61) 사이의 숫자를 눌러, 변경하고자 하는 MIDI CC의 넘버를 입력합니다.
Enter 키(C5 Key)를 눌러 설정을 마무리하고, 셋업을 종료합니다.
최상단 마지막 건반이 엔터키.
이수진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
에이블톤과 사용하는 방법 있을까요?
Reply:
효진님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
넥타 GX61은 미디 연결을 지원하는 대부분의 DAW에서 사용 가능 합니다.
인터그레이션은 몇 개의 DAW로 한정되며 그 중에서 에이블톤은 지원되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Min a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
엠오디오 키스테이션88 을 샀는데요 ilok깔구 멜로딕 깔았는데 라이센스0없다고 나오고 이거 어케 피아노에 소리 나는건가요ㅠ 전공이 이쪽이 아닌데 전통피아노인줄 알고 샀다가 난감하네요 ㅠㅠ 도움좀주세요ㅠ
Reply:
효진님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
키스테이션88은 마스터키보드라서 자체적으로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구입시 첨부된 에이블톤과 미니그랜드 설치 후 에이블톤에서 가상악기를 미니그랜드로 로딩하면 피아노 음색으로 키보드를 칠 수 있습니다.
아래 동영상 및 글을 참고하세요
https://youtu.be/PPlnEV4e3I4
https://ohharu.com/808
https://ohharu.com/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