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거복지165

누구라도 알기 쉬운 국민임대아파트 신청방법 저는 2007년도에 일산에 거주할 때 파주운정신도시 지역의 국민임대아파트 입주자 모집공고에 신청접수를 하여 운 좋게 당첨되었습니다. 그 때만 하더라도 국민임대아파트를 모르는 분들이 많아서 거주지역 2순위 자격으로 신청하고도 당첨이 되었답니다. 1순위는 주소지가 파주시인 거주자. 2009년도에 파주운정신도시 국민임대아파트 39형에 입주하여 살다가 그 해 원룸형 국민임대아파트 모집공고를 보고 일산신도시 지역과 가깝고 임대료가 좀 더 저렴하여 혼자 살기에 편할 것 같아 29형을 재신청하여 당첨되어 현재까지 29형에 살고 있습니다. 지금도 국민임대아파트 거주하면서 다른 국민임대아파트 모집공고에 신청하여 국민임대에서 국민임대로 이사를 나갈 수 있지만 일정기간 동안은 감점 패널티가 적용되는데 그 때는 그런 감점 패.. 2021. 8. 30.
LH 국민임대아파트 재계약 자동갱신 완료 공문 받았어요 아파트 우편함에 LH에서 온 우편물이 있어서 뜯어 보니 현재 거주하고 있는 LH 국민임대아파트 재계약이 자동 갱신되어 완료되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LH에서 운영하는 국민임대, 영구임대, 공공임대는 입주 후 2년 마다 한번씩 자격심사를 거쳐 재계약을 합니다. 올해는 코로나 사태로 임대료 인상이나 보증금 증액 조건없이 기존의 임대차 계약 조건이 동결되어 계약을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2021년 올해 1월 부터 내년까지 도래하는 재계약에 대하여 전국의 LH임대주택에서 임대료 동결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계약방법은 자동갱신을 선택했습니다. 예전에는 LH 주거복지센터를 방문하여 도장을 찍고 갱신된 계약서를 수령했는데 이런 현장방문은 번거로운 점이 많아 이번에는 비대면 자동갱신으로 재계약을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2021. 2. 20.
LH 국민임대아파트 임대료 인상없이 동결 재계약 완료 LH 국민임대아파트는 입주 후 매 2년마다 갱신 계약을 통해 장기거주가 가능합니다. 재계약 2년마다 임대료가 평균 4-5% 가까이 인상되었는데 코로나 팬데믹 영향으로 2021년 1월 부터 내년까지 재계약 시 임대조건이 동결됩니다. 각 단지마다 올해 부터 도래하는 재계약에 적용 됩니다. 제가 거주하는 국민임대아파트 단지는 1월이 재계약 시즌인데 지난번 재계약 서류 제출 후 갱신계약 자격 심사결과 통보를 우편으로 받았습니다. 임대료 동결로 임대보증금과 월 임대료는 2년 전 재계약 때의 임대조건 그대로 반영되어 이번에는 증액보증금을 따로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2년마다 보증금이 5-60만원 인상되었으나 올해는 이런 보증금 인상분이 없습니다. LH 빚이 126조원인데 임대료 동결이 웬말이냐는 의견도 있을 것 .. 2021. 1. 4.
파주운정 A34블록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 모집 파주 운정 신도시 교하지구 인근의 A34 블록 행복주택 단지 내에 건설 중인 영구임대주택의 입주자 모집공고가 있습니다. 이번에 공급하는 영구임대주택은 총 241호 입니다. 이중에서 일반 공급은 95호 나머지는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지원대상 한부모 가족, 위안부 피해자, 북한 이탈 탈북민, 국가유공자, 신혼부부 등의 자격을 갖춘 분들과 만 65세 이상 등의 주거약자에게 우선 공급 됩니다. 우선공급에 남은 호수는 일반공급으로 전환 됩니다. 원룸형 국민임대아파트 입주를 희망하시는 1인가구 단독세대주라면 일반 공급으로 신청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A34블록 영구임대아파트 위치. 위치는 운정 신도시 중심부에서는 먼 편 입니다만 교하지구와 가깝고 자유로, 롯데프리미엄 아울렛, 출판단지와 가까워 입지조건은 나쁘지 .. 2020. 11. 11.
국민임대아파트 소득 및 자동차 기준 초과인데 재계약은 어떻게 되나요? 국민임대아파트는 2년 단위로 재계약을 하며 재계약 전에 전산조회를 통해 소득, 자산을 파악하여 거주자격에 부합하는지 심사 후 계약 갱신이 이루어 집니다. 과거에는 1인가구 단독세대주는 3인 이하 월평균 소득기준이 적용되었지만 이제는 구간별로 세분화 되어 1인 가구의 월소득 기준 금액은 약 185만원 이하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래서 재계약을 앞두고 우체국에서 배달 온 소득초과 소명 요청 안내 등기 우편물을 받고 놀라서 크게 걱정을 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2020년 9월 현재 국민임대아파트 입주 및 거주자격에 맞는 월소득 및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월 소득 185만원을 초과한다면 할증료 부과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올해 부터 적용되는 가구원수에 따른 소득 구간 세분화로 인해 .. 2020. 9. 18.
달라진 국민임대아파트 1인가구 소득 및 자산기준 그 동안 LH 국민임대아파트 1인 단독세대주 가구의 월평균 소득기준은 3인 이하 가구의 소득기준이 적용 되었습니다. 2019년 기준으로 약 350만원 이하이어야 국민임대아파트 신청 자격이 되었지만 2020년 부터는 1인 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이렇게 가구별로 소득 기준의 구간이 세분화 변경되어 적용 됩니다. 과거에는 1인가구 단독세대주의 소득이 월 평균 300만원이었더라도 국민임대아파트 신청 및 거주가 가능했지만 올해 부터 1인가구의 월평균소득기준은 185만원 이하가 적용됩니다. 아래의 표를 보면 1인가구의 월평균소득기준은 약 185만원 입니다. 2인 가구는 306만원, 3인 가구는 393만원, 4인가구는 435만원 입니다. 현재 국민임대아파트에 입주하신 분들 중 1인 가구에 해당되신다면 .. 2020. 4.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