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617

홍콩 공포영화 염귀발광 (艶鬼發狂, Possessed II) 내가 중2때 우리동네에도 유선방송사가 생겼다. 지금은 케이블방송이라고 부르지만 그 당시에는 유선방송이라고 불렀다. 그 이전에는 유선방송이나 케이블방송 서비스 자체가 없었고 오늘날의 케이블 방송이 막 태동하던 그런 시기였었다.지금의 개념으로는 상상도 못할 여러가지 일들이 많았다. 우선 저작권 개념이 없었다. 당시에는 비디오 대여점이 오늘날 노래방 처럼 많았던 시절이라 유선방송국에서는 외화나 홍콩무협물의 비디오를 방영하였다. 말이 방영이지 그냥 비디오테이프를 VTR넣고 틀어주는 정도였다. 어떤날은 동네 초등학교 운동회를 찍어서 틀어주기도 했고 촬영기사가 비디오 카메라를 조수석에 설치하고 동네 한바퀴를 드라이브하면서 찍은 영상을 틀어주기도 했었다. 그래도 그때는 그게 재미있어서 동네 아는 사람이 TV에 나왔다.. 2010. 8. 22.
파주운정 11단지 A1블럭 국민임대 아파트 입주자 모집 작년 12월에 입주를 시작한 파주운정 A1 블럭의 국민임대 아파트의 공가를 추가모집하는 공고가 오늘 발표되었다. 65형의 경우 비교적 많은 185호를 모집하고 임대료도 84형에 비해 저렴하므로 65형의 경쟁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A1블럭은 A3블럭 가람마을 옆 단지로 운정역도 가깝고 버스같은 교통편도 나쁘지 않다. -65형- 주거전용면적 약 13.8평 모집호수 185호 보증금 2천2백만원 임대료 월 14만5천5백원 -84형- 주거전용면적 약 18평 모집호수 35호 보증금 3천5백만원 임대료 월 23만3천원 *신청접수기간 -64형-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50%이하 1순위 2010.3.15 2순위 3.16 3순위 3.17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50%초과 70%이하 1순위 2010.3... 2010. 3. 4.
국민은행 정기예금 만기로 받은 이자 지난 4월 국민은행 홈페이지에서 가입한 6개월짜리 정기예금을 만기해지 했다. 이자는 145,000원(연이율 2.9%)으로 거기서 소득세,주민세를 차감하고 지급 받은 이자는 122,670원 이었다. 이자를 받기도 전에 미리 쇼핑몰에서 HP 복합기랑 잡다한 것을 카드로 구입했다 ㅡ,.ㅡ 1000만원은 곧바로 e-공동구매 정기예금에 예치하였다. 예금 판매액이 100억원이 넘으면 연이율 4.6%를 준다고 하길래 판매액을 조회해보니 이미 100억원을 돌파한 상태였다. 정기예금 만기일이 이 상품의 마지막 판매일이라서 해지하자마자 바로 이 상품에 가입을 하였다.세금우대 한도 전부를 새로운 정기예금에 몰아주었고 1년 후 만기해지하면 이자로 40여만원을 받을 수 있을 것 이다. 아울러 주택청약 종합저축과 김연아 적금도 .. 2009. 11. 21.
보험해약 하고 정기예금 가입 2005년에 가입한 삼성의료보험.그 동안 매월 5만8천원씩 총47회를 납부한 총액이 269만원이었지만 이번 에 해지를 하고 139만원을 받았다. 보장성 보험이었기에 그 동안 납부한 보험료 중 50% 정도를 해지환급금으로 받을 수 있었다. 130여만원을 손해봤다는 생각도 들었지만 그동안 여러 개의 보험에 자의반 타의반 가입하여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보험도 있었고 딱 필요한 보험만 놔두고 나머지는 정리하는 것이 나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질병. 사고 보험 하나를 빼고 전부 해약하였다. 솔직히 돈이 많다면 보험은 필요없을 것 이다. 보험 해약 환급금과 여유자금을 합쳐보니 1000여만원 정도가 되어 정기예금에 넣어두기로 하고 국민은행 인터넷 뱅킹을 통해 e-파워정기예금 상품에 가입하여 연이율 2.9% 확정금리 계.. 2009. 5. 8.
내 디카는 니콘 쿨픽스 8400 2005년 2월경 구입한 니콘 쿨픽스 8400 컴팩트형 디카를 아직도 사용하고 있다. 360도 회전식 액정과 24mm 광각 그리고 마그네슘합금 바디... 니콘 쿨픽스 8400을 구입하면서 메이커를 캐논에서 니콘으로 바꾸게 되었다. 구입한지 만4년이 다됐지만 고장한번 없었고 이 카메라를 대체할 만한 모델은 아직 없는 것 같다. 니콘의 컴팩트형 디카 중에 8400보다 사양이 더 높은 P6000이 있긴 하지만 8400만의 장점이 더 매력적이다. 처음 출시되었을때 가격이 하이엔드 컴팩트 디카라는 이유로 80만원대 였었다. 현재의 D80과 맞 먹는 가격 ㅡ,ㅡ.. 그렇지만 그 당시에는 DSLR 디카가 100만원대가 넘던 시절이었고 중저가의 보급형 DSLR이 없었다. 8400을 선택 하는데 결정적으로 영향을 준것은.. 2009. 1. 24.
반응형